| 기업신용등급 관리
 |   기업 신용등급의 정의 및 목적 |  |   *기업 신용등급은 기업의 부도 가능성을 평가하여 기업 신용위험의 상대적인 수준을 서열화한 뒤, 위험 수준이 유사한 기업들을     동일한 등급으로 계량화한 지표입니다.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  *금융기관에서는 내부 신용평가시스템을 통해 차주의 부도 위험을 평가한 ‘차주 등급’과 개별 여신에 대한 손실위험과 관련하여 특정 거래 요인을 평가하는     ‘여신 등급’의 이원화된 체계로 운영하고 있습니다.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  *기업 신용등급은 금융기관 등에서 기업의 신용위험을 바탕으로 의사결정이 필요한 경우(신용거래를 설정하거나 유지하고자 할 때), 참고지표로 활용 가능합니다.
 
 | 
 
 
 
 기업 신용등급의 활용 현황 
 |  활용 기관 |  활용기관의 예 |  활용 사례 |  |  공공기관 |  조달청 |  공공입찰용 평가, 경영상태 평가 시 참고지표로 활용 |  |  금융기관 |  은행 |  여신 심사 등 의사결정 시 참고지표로 활용 |  |  보증기관 |  신보, 기보 등 |  보증심사 시 참고지표로 활용  |  |  일반 기업체 |  거래처 관리가 필요한 기업 |  거래처 등록 및 발주 시 참고지표로 활용 | 
 
 기업 신용등급(구간별) |  구간 |  점수 |  신용평가 / 재무적 책임측면 |  상거래 측면 |  금융지원 동향 |  상거래 동향 |  | A+ Aº A- | 91 이상 89 ~ 90 87 ~ 88 |  해당등급은 재무적책임을 이행할능력이 극도(ectremely)로 강화(strong), 다양한 방어적인 요소가 변화되어도 근본적으로 위치손상은 없음 |   최고의 신용도 Highest quality |  적극지원 |  전반적 거래확대 |  | BBB+ BBBº BBB- | 86 ~ 85 84 ~ 83 82 ~ 81 |  전반적으로 매우 우량한 것으로 간주됨. 재무적 책임을 이행할능력이 강하지만, 주 변환경과 경제적 상항이 불리한 경우에 상위 등급보다 더욱 민감함 |   강한 지급능력 Strong paymentcapacity |  지원 |  일부품목 확대 |  | BB+ BBº BB- | 80 ~ 78 77 ~ 75 74 ~ 72 |  중간정도의 등급으로서 이자와 원금의 안 전도는 당분간 안전할 것으로 보이나, 어 떤 방어적 요소의 부족가능성과 장기적으 로 불안전 할 가능성이 있음. 동 등급의 다소 투자적 특성을 결핍하고 있으며 실제로는 투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 |   적절한 지급능력 Adequate payment capacity |  지원확대 |  거래유지 / 확대 |  | B+ Bº B- | 71 ~ 69 68 ~ 66 65 ~ 63 |  채무자는 다른 하위의 등급보다 지급불능 에 덜 민감함. 그러나 불리한사업,재무,경 제적 상황과 불확실성에 직면 하면 재무적책임을 이행할능력이 부적적할 수 있음 |  채무이행가능성은 있으나 불확실성이 존재함 |  유지 / 조정 특별지원 고려 |  거래유지 / 조정 |  | CCC+ CCCº CCC- |  62 ~ 60 59 ~ 57 56 ~ 54 |  상위 등급보다 지급 불능에 보다 더 위험 함. 그러나 현재의 재무적 책임을 이행할 능력은 가지고 있음. 불리한 사업, 재무, 경제적 상황은 채무자의 재무적 책임을 이행할 의도와 능력에 손상을 초래할 것 같음. |   신용위험이 높음 High risk obligations |  지원축소 /  특별지원 강구 |  거래축소 |  | D |  53 이하 |  현재 지급불능의 위험이 매우 많음. 재무 적 책임 이행측면에서는 미래 전망에대해 극도로 빈약한 전망을 가진 것으로 간주 됨. 부도직전의 단계 |   |   |   | 
 
    
 
       |